1. 외관 개인적으로 외관의 디자인은 1 보다는 2가 훨씬 깔끔하고 고급지다고 생각합니다. 1때는 뭔가 2% 부족한 느낌의 소재와 외관이였는데 2는 디자인 및 사용 소재만 보더라도 충분히 1 보다는 개선이 되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렇다고 아주 특별한 소재를 사용한건 아니지만 확실히 내구성은 좋아지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2. 쿠션 사진을 보셔서 아시겠지만, 제가 예전에 카이리 플라이트랩 설명하면서 언급했던 적이 있습니다. 보급형 농구화들의 돌려막기 이번 이모탈리티2가 딱 그 케이스 입니다. 미드솔과 아웃솔 한번 보시죠 전작과 동일합니다. 근데 말이죠 쿠션은 속히 돌덩이가 되어서 돌아왔습니다. 이거 1때 제작하고 출고 못한 미드솔을 돌려막기 해서 시간이 지나서 많이 딱딱해진건 같습니다. 이건 뭐 신자마자 너무하다 싶을 정도이니 말이죠. 개체의 차이 일수도 있겠지만 제가 하나 더 사서 개체의 차이를 확인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실제로 폼소재가 사출이 되어서 그대로 놔두면 경도가 올라가는 현상이 있는데 이 부분은 왜 그런지 피팅때 설명 하겠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농구화 성능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게 쿠션 입니다. 특히 무릎이 안좋거나 허리가 안좋은 농구인들한테는 쿠션만큼 중요한 특성은 없죠 기본적으로 쿠션이 기반이 되지 않으면 농구화 평가에서 추천을 하는 편은 아닙니다. 물론 돌쿠션을 좋아하시는 분들도 많으시니 이부분은 개인적인 호불호라고 생각합니다.
3. 피팅 우선 길이를 보시겠지만 실제로 이모탈리티1 보다 사이즈가 작게 나왔습니다. 내부 실측을 제어봐도 4mm가 짧게 나왔습니다. 조금 여유롭게 신으시는 분들은 반업도 한번 고려해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반드시 정치수 권장드립니다. 이모탈리티 1 생각해서 반다운 한 저는 너무 딱 맞네요. 발볼은 전작과 동일한 수준이며 지상고도 전작과 동일한 수준 입니다. 근데 같은 미드솔을 썻는데 왜 길이가 짧아진걸까요?? 그 이유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고무나, 플라스틱 소재들은 사출이 되고 난후 수축을 합니다. 실제로도 제품을 사출하고 나서 바로 길이를 측정했을 때와 일정 시간이 지나서 길이를 재면 길이가 많이 다릅니다. 그 일정 시간이 지나서 즉 수축이 다 진행이 되고나서의 길이가 스펙에 들어와야 양품이 되는거죠 만약 이모탈리티 2가 1을 사출하고 남은 재고를 만약 상요했다면 더 긴시간 수축이 진행되어서 길이가 짧을수 있습니다. 두번째 이유는 무게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전반적으로 잡아주는 피팅감은 1 대비해서 더 좋아진것 같습니다.
4. 무게 전작 보다 무거워졌습니다. 같은 미드솔 시스템인데 무거워졌다 그말은 어퍼 소재가 바뀌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로도 많이 단단해지고 뚜꺼워 진 것이 느껴집니다. 그래도 326g 이면 뭐 아직까지도 많이 가벼운 제품임에 틀림 없습니다. 여기서 내측 길이가 짧아진 2번째 이유가 소개되는데 어퍼 소재가 두꺼워지면서 실제로 미드솔과의 접착시 두꺼워진 만큼 안쪽 실측 길이가 조금 짧아지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6. 가비 정가 9.9 현존하는 농구화중 이 정도 정가를 구현하는 녀석은 없습니다. 그런데 만약 저보고 아울렛에 가서 이모탈리티 1 신을래 2 신을래 고민하고 고르라 한다면 저는 1을 집어 올 것 같습니다. 9.9에 좋은 저가의 농구화임에는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전작처럼 이 정도 쿠션에 성능이면 가성비 좋다라고 까지는 말 못할것 같습니다.